닫기

오기형 의원 “소액‧다수 피해자 구제 활성화, 규제혁신 차원에서 집단소송 논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edu.asiatoday.co.kr/kn/view.php?key=20220203001429132

글자크기

닫기

안정환 기자

승인 : 2022. 02. 03. 14:38

‘집단소송 도입시 피해자 일부가 낸 소송결과로 전체 피해자 구제 가능’
국회 정무위원회 오기형 의원(왼쪽)은 지난달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규제혁신과 민사개혁 ‘ 증권관련 집단소송의 확대 가능성’」이라는 제목의 토론회를 열고, 집단소송 법제의 진화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3일 밝혔다. /사진=오기형 의원실

국회 정무위원회 오기형 의원(서울 도봉을)은 지난달 28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김영배, 백혜련, 송기헌, 최기상 의원과 공동으로 「규제혁신과 민사개혁 ‘ 증권관련 집단소송의 확대 가능성’」이라는 제목의 토론회를 열고, 집단소송 법제의 진화방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 19일 개최된 ‘「규제혁신과 민사개혁 '증거개시제 입법 방향'」의 후속으로, 지난 2005년 도입된 증권관련 집단소송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가습기살균제 사건, 자동차 배출가스 조작사건, 라돈침대 사건 등 소액・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한 사안의 경우 우리나라 민사소송 제도 하에서 피해자 개인이 손해를 배상받기 위해 개별적으로 비용을 부담하고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실상 피해가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집단소송제도는 피해자 일부가 낸 소송결과로 전체 피해자를 구제하는 제도다. 

이날 토론회는 최은진 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보가 「공정거래 분야 집단소송 도입 방안」, 송성현 법무법인 한누리 변호사가 「증권 관련 집단소송 사례 및 타 분야 확장 가능성」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발제를 맡았다. 토론자로는 채이배 제20대 국회의원, 임철현 법무부 상사법무과장, 이승진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위원, 서치원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변호사가 참여했다.

최은진 입법조사관보는 “소액・다수의 피해구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집단소송제가 필요하지만, 일반법으로서 집단소송제를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그렇다면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처럼 공정거래・소비자 분야도 별도의 집단소송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송성현 변호사는 “글로벌 경제체제가 확산되면서 동일한 유형의 불법행위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집단소송제를 갖춘 외국 소비자들은 조기에 빠짐 없이 배상을 받지만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소송에 직접 참여한 경우에 한해 오랜 기간 소송을 통해 소액의 배상을 받는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집단소송법이 도입될 경우 소송이 남발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이에 대해 채이배 전 의원은 “증권관련 집단소송법 시행 이후 16년 동안 제기된 집단소송은 고작 10건 뿐이다. 일반적인 집단소송제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하루 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임철현 과장은 “실제 증권관련 집단소송 제소 건수를 보면, 남소 우려를 제기하는 것은 ‘반대를 위한 반대’다”라고 했으며, 서치원 변호사는 “남소 우려는 2000년대 초반 증권관련 집단소송법 제정 당시에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제소 건수를 보면 남소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승진 정책연구위원은 “2016년 이후 증권관련 집단소송 제기가 한 건도 없었다는 것은 금융당국의 자본시장 감시 강화 등 다른 요인이 있을 수도 있다. 증권관련 집단소송이 도입되어 시장이 투명해졌다는 분석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의 좌장을 맡은 오기형 의원은 “최근 현행 사전규제 방식을 우선허용‧사후규제 방식의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하자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네거티브 규제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업과 국민이 규제전환에 따라 확대된 자율성을 오‧남용하지 않고 스스로 공정한 원칙을 정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집단소송은 규제혁신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주제”라고 밝혔다.
안정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